저항 6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4.직렬회로(직렬회로 해석)

1. 미지 값을 구하기 위한 직렬회로의 해석 아래 그림과 같이 R1이 14Ω이고 R2가 6Ω일 때 V(T)가 50이라고 가정하자 이제 R(T), I, 전압강하 V1, V2 그리고 소비된 전력을 구해 보도록 하자 1-1. 위 그림은 총 전압 V(T)가 주어져 있기 때문에 I를 구하기 위해서 총 저항 R(T)를 구해야 만한다 여기서 V(T)는 R(T)에 인가되는 전압이다 R(T)=R1+R2.... etc =R(T)=R1+R2=14+6=20Ω 고로 R(T)=20Ω 1-2. 전체 저항을 구하였기에 이제 전류를 구할 수 있다 I= V(T)/R(T)=50 [V]/20 [Ω]=2.5 [A] 회로 전체에 흐르는 전류는 2.5 [A]다 1-3. 전류를 구하였기에 이제 각각의 전압 강하를 구한다 V1=IR1=2.5 [A]..

공학/전기 2022.05.23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4. 직렬회로(직렬회로의 전류,직렬회로의 저항,IR전압강하)

1. 직렬 회로의 전류 2번째 포스트에서 말했듯 전류는 두 지점 사이의 전하의 이동으로 인가된 전압에 의해서 발생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회로의 구성요소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직렬 회로라 한다. 전지의 양극 단자는 음극 단자가 전자를 밀어내는 만큼의 힘으로 전자를 끌어당긴다 그러므로 회로에서 자유전자의 운동은 동시에 회로의 모든 부분에서 동일한 속도로 시작한다 아래 그림처럼 한 점으로부터 이동한 자유전자는 연속적으로 직렬회로에서 인접한 위치로부터 이동된 자유전자들에 의해서 대체된다 모든 전자 들은 전지를 떠난 전자랑 동일한 속도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회로의 모든 부분에서 자유전자의 이동은 동일한 경향을 띤다. 임의의 시간에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수의 전자가 이동한다 이는 직렬화로의 모든 부분에서..

공학/전기 2022.05.13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3.옴의법칙(전류,전압,저항)

1. 전류 회로 내에서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 전압을 변화시킨다면 전류의 크기가 변화한다. 전압과 저항에 대해서 전류는 옴의 법칙(ohm's law)은 이를 단위 형태로 바꿔 나타내면 위공식은 결국 저항으로 저항에 걸린 전위차를 나누면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1-1 고전압저전류 회로 내에서 높은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 높은 저항을 이용하여 낮은 전류를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조전 압 회로는 전자기기내에 흐르는 전류값이 작은 것이 보통이다 그렇지 않으면 어마어마 한양의 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ex) 1000V전압에 1,000,000Ω 저항을 인가하면 0.001A크기의 전류가 발생한다 1-1 저전압 고전류 낮은 전압에 비교적 낮은 전압을 인가하면 높은 전류를 생성할 수 있..

공학/전기 2022.05.08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2.저항(가변저항기,전위차계,전력감쇄곡선)

1. 가변저항기 가변저항기는 권선 혹은 탄소 저항기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위 그림의 금속 케이스 내부에는 원형판 제어장치가 있다.이 원형판은 탄소합성 저항기 성분으로 압착한 종이나 주형 된 탄소판 위에 박막을 입힌 것이다 중간 단자가 저항 선분 원형판 위를 이동하며 접착위치를 다르게 하여 저항을 조절한다 2. 테이퍼 제어장치 축의 회전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을 제어장치의 테이퍼라 한다 선형 테이퍼에서 1.5배 회전시키면 저항은 최댓값의 1.5배가 된다 마찬가지로 모든 저항값은 회전한 거리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비선형 테이퍼에서는 저항값이 변화하는 비율이 일정하지 않다 이 이유는 저항 성분에서 탄소 밀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볼륨 조절을 위한 테이퍼는 조절 폭이 작을 경우 저항값의 변화가 작다 따..

공학/전기 2022.05.06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2.저항(저항,저항의 종류)

1. 저항 저항기는 모든 형태의 전자회로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회로 내에서 저항기의 주요 역할은 전류의 양을 제한하거나 전압을 감소시킴에 있다 이번장에서는 저항기 종류 색 코드 전위차계 가감 저항기 저항기의 정격 전력 저항기의 고장 등을 다룬다 저항기의 두 가지 주요특성은 이전 포스팅에서 말한 옴 단위의 저항(R,Ω)과 와트 단위의 전력(Power rating, W)이다. 기본적으로 저항기는 n옴부터 m메가옴까지 다양한 저항을 가진다 이는 정격 전력도 마찬가지다 정격 전력(wattage rating)이란 저항기가 과도하게 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소모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말한다 우리가 흔히 쓰는 탄소 저항기는 1W이하의 정격 전력을 가지고 있다. 높은 저항을 가진 저항기는 보통 낮은 정격 전력을 보이는데..

공학/전기 2022.05.05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1.전기(저항,도전율,폐회로)

1. 저항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열이 발생한다는 것은 전류가 무엇인가에 의해서 방해받고 있기 때문이다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발생한 전류를 제한하는 요소를 우리는 저항(resistance)이라 한다 도체는 매우 작은 크기의 저항을 가지며 전열체는 반대로 매우 큰 저항 갖는다 2. 옴 저항의 단위는 옴(ohm,Ω)이다 1옴의 기준은 1초에 1A의 전류가 흐를 때 0.24 cal의 열이 발생 하면 1옴이다 3. 도전율 저항의 반대는 도전율(conductance, G) 이다 G라는 기호를 사용하고 단위는 지멘(siemen, S) 를 사용한다 혹은 옴(ohm)을 반대로 한 모(mho)라 부르기도 한다 G는 R과 역수관계다EX) 도전율이 0.004S 일 경우에 저항을 계산하라. R=1/G =1/0.004 [S] =2..

공학/전기 2022.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