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로이론 30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8.회로망정리(노턴정리)

노턴 정리 노턴 정리는 전압 대신 전류의 항으로 회로를 단순화하는 데 사용된다. 많은 경우에 있어 전류의 분배에 대한 해석은 전압으로 해석하는 것보다 쉬울 수 있다. 그러므로 전류 분석을 위해서 노턴 정리를 사용하여 회로망을 전류원을 가진 간단한 병렬회로로 줄일 수 있다. 전류원에 대한 개념은 직렬 부품에 나누어지는 전체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원에 대응되는 것으로 전류원은 병렬 가지들에 나누어 흐르게 되는 전체 전류를 공급한다. 노턴 등가 회로 위 회로 그림처럼 노턴 정리는 단자 A와 B에 연결된 전체 회로망이 저항 R(N) 1개와 병렬인 전류원 I(N) 1개로 대치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I(N)의 값은 AB단자를 통해 흐르는 단락 회로의 전류와 같다. 이것은 A와 B의 두단 자를 단락 시킨 후 A..

공학/전기 2022.08.18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8.회로망정리(브리지회로의 테브낭화)

브리지 회로의 테브낭화 테브낭 정리의 전 포스트와 다른 예로 아래 회로 그림의 브리지 회로의 중앙에 있는 2Ω의 RL에 흐르는 전류를 구해 본다. 단자 A와 B를 개방하기 위해 R(L)을 제거한 결과를 아래 회로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개방 단자 A 가 R3 R4의 연결점이기 때문에 이분 배기의 A점 전위를 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자 B에서의 전위는 R1-R2 분배기에서 구할 수 있다. 그때 V(AB)는 단자 A와 B사이의 전위차다. 두 분배기에서의 전압을 주목해야 한다. 3Ω의 R3와 6Ω의 R4로 구성된 분배기에서 밑에 있는 전압 V(R4)는 6/9X30=20V이다. 그때 위에 있는 전압 V(R3)은 두 전압을 더 해서 30V가 돼야 하기에 자연스럽게 10V가 된다. 극성은 전압원 V..

공학/전기 2022.08.10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8.회로망정리(전압원이 2개인회로의 테브낭화)

전압원이 2 개인 회로의 테브낭화 아래 회로 그림은 이미 키르히 호프의 법칙으로 풀어 보았으나 여기서는 테브낭 정리를 사용하여 중간에 있는 저항 R3에 흐르는 전류 I3 구해본다 아래 회로 그림처럼 먼저 R3 양 단의 단자를 A와 B로 표시한다 위 회로 그림에서 R3은 연결하지 않는다 V(TH)를 계산하기 위해 개방 단자 양단의 V(AB)를 구한다. 중첩 정리 적용 전원이 2개일 때 중첩 정리를 적용하여 V(AB)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V2를 단락 시킨다 그러면 84V의 V1이 R1과 R2에 분배된다. R2 양 단의 전압은 단자 A와 B 사이의 전압이다. R2에 분배되는 전압을 계산하면 이 값은 오직 V1으로 인한 V(AB)의 값이다. 단자 A에서의 극성은(+)이다. V2로 인해 A와 B사이에서 발생..

공학/전기 2022.08.09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8.회로망정리(테브낭정리)

테브낭 정리는 회로 망내의 미지 전압과 전류값들을 해석하는 과정을 단순화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테브낭 정리에 의해 많은 전원과 부품들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든지 간에 회로 망내의 어느 두단 자에 대한 등가의 직렬회로로 표현 가능하다. 아래 회로 그림에서 왼쪽에 있는 블록은 A와 B단자에 연결된 회로망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테브낭 정리에 의해 A와 B에 연결된 전체 회로망은 저항 R(TH) 1개와 직렬인 전압원 V(TH) 1개가 동일한 두단 자에 연결된 회로로 대치될 수 있다. 전압 V(TH)는 단자 A와 B 양단에 걸리는 개방 회로의 전압이다. 이 전압을 구하는 방법은 A와 B사이를 개방하고 두단 자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한다. V(TH)의 극성은 원래의 회로망과 같은 방향으로 A에서 B로 ..

공학/전기 2022.08.08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8.회로망정리(중첩정리)

중첩 정리(Superposition Theorem) 중첩 정리는 전원이 2개 이상있는 회로에 대해 옴의 법칙을 확장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정리이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한 번에 한 개의 전원으로 인한 영향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더하여 모든 전원으로 인한 영향을 구한다. 중첩정리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2개 이상의 전원을 가진 회로망에서 임의의 부품에서의 전류와 전압은 각각의 전원이 개별적으로 작용할 때 나타나는 영향을 합한 것이다. 한 번의 1개의 전원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전원들을 잠시 죽여야 한다. 이 말은 회로의 저항값을 그대로 두고 전원이 전압이나 전류를 발생하지 못하게 한다는 것을 말한다 전지와 같은 전압원은 전위차가 있는 양단을 단락 회로로 가정하며 내부저항..

공학/전기 2022.08.04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7.키르히호프법칙(망전류법)

망 전류 법 망(mesh)은 가장 간단한 폐회로이다. 아래 그림에는 2개의 망 즉 ACDBA와 CEFDC가 있다. 각각의 망은 1개의 창틀과 같아 보인다 거기에는 어떤 가지도 존재하지 않고 오직 1개의 경로만 존재한다. 망 전류는 갈라지지 않고 망 둘레를 흐른다고 가정한 전류다 위 회로 그림에서 망 전류 I(A)는 V1, R1, R3을 흐르고 I(B)는 V2, R2, R3을 흐른다 R3과 같이 2개의 망에 공통으로 있는 저항 저항에는 2개의 망 전류 가 흐른다. 망 전류가 가지 분기점에서 나누어지지 않는 사실이 망 전류와 가지 전류 사이의 차이점이다. 망 전류는 가상의 전류이고 가지 전류는 실제로 흐르는 전류이다. 그렇지만 망 전류를 알면 가각의 모든 전류와 전압을 구할 수 있다. 이제 위 회로를 풀어보..

공학/전기 2022.08.03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7.키르히호프법칙(절점전압법)

절점 전압 법 가지 전류 법에서 루프 둘레의 전압강하를 나타내기 위해 전류들을 사용하였고 그다음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을 만족하는 루프 방정식을 세웠다. 그리하여 이 루프 방정식을 풀어 미지의 가지 전류를 구할 수 있었다. 전류를 구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절점(노드:NODE)이라 불리는 가지 분기점에서 전류를 구하기 위해 전압을 사용하는 법이다. 그때 전류에 대한 절점 방정식은 키르히호프의 전류 방정식에 맞게 세운다. 이 절점 방정식의 장점은 가지 전류 법보다 보통 더 간단하게 나온다 절점이란 단순히 둘 또는 그이 상의 부품들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지점이다 주 절점(principle node)은 셋 또는 그 이상의 연결을 가진다 사실상 주 절점은 전류들이 나누어지거나 모이는 접합점 또는 가지 분기점이다. 그..

공학/전기 2022.08.02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7.키르히호프법칙(가지전류법)

1.가지전류법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을 사용하여 아래 그림의 회로를 분석할 수 있다. 세 저항대 대한 전류와 전압을 구해보자. 먼저 전류 방향을 나타내고 가정한 전류 방향에 맞도록 각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극성을 표시한다. 저항을 흐르는 전류는 전류가 들어가는 곳을 +로 만든다 아래 그림에서 전원 V1은 전류가 R1을 통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도록 하고 V2는 R2를 통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게 한다 R1, R2, R3를 각각 흐르는 I1 I2 I3으로 표시할 때 이 3개의 미지 전류를 구하기 위해서는 3개의 방정식이 필요하다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으로부터 C점으로 들어오는 전류는 나가는 전류의 합과 같기에 I1+I2=I3식을 얻는다. 그러므로 R3을 흐르는 전류는 I1+I2로 구할 수 있다. 두..

공학/전기 2022.08.01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7.키르히호프법칙(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루프방정식)

1.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 어떤 폐회로 둘레의 전압들의 대수합은 0이다. 한 전위점에서부터 시작하여 같은 전위점으로 돌아온다면 전위차는 0이되야 한다 1-1. 대수 부호 KVL방정식에서 전압 항의 대수 부호를 정할 때 아래 그림처럼 먼저 각 전압의 극성을 표시한다. 폐회로 일주하면서 -전압은 -항으로 +단자가 나오는 +항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진행한다. 이 방법을 전압 강하와 전압원에 적용한다. 일주하는 방향은 시계 방향이든 반시계 방향이든 상관없다. 폐회로를 따라 돌아서 시작점으로 돌아올 때 모든 전압항들의 대수합은 0이 되어야 한다. 그 점에서는 어떤 전위차도 생기지 않는다 시작점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대수합은 시작점과 마지막점 사이의 전압이 된다. 회로 내의 어느 두 점 사이의 전압은 전위차를 결정..

공학/전기 2022.07.13

GROB's basic electronics 회로 이론-7.키르히호프법칙(키르히호프법칙의전류법칙,전류방정식)

1.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 회로 내의 어느 한 점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전류의 대수합은 0과 같아야 한다. 또 다르게 설명하면 회로의 어느 한 점에 들어가는 전류의 대수합은 그 점에서 나오는 전류의 대수합과 같아야 한다. 대수합이란 양의 값과 음의 값을 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1. 대수 부호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사용하여 회로를 해석할 때 전류와 전압 항들의 부호를 정하는 데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전류의 부호는 분기점에 들어가는 모든 전류를 +로 정하고 그 점에서 나오는 모든 전류를 -로 정한다 아래 그림을 보자 아래 그림을 식으로 표현하면 또는 로 나타낸다. 전류 I(A)와 I(B)는 P점으로 들어가므로 + I(C)는 P점에서 나오기 때문에 -이다 1-2. 전류 방정식 아..

공학/전기 2022.07.12